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아페리토타워
재외국민

전체 가입 회원수 : 201,406 명

필리핀 역사 이야기 - 농민들의 대 반란

페이지 정보

글쓴이 : 마간다통신 댓글 0건 조회 1,625회 작성일 14-12-15 10:46

본문

Huk Rebellion이라고도 함.
필리핀 루손 중부에서 공산주의자들의 지휘하에 일어났던 농민 봉기(1946~54).




이 운동의 이름은 ‘항일 인민군’을 뜻하는 타갈로그어 ‘Hukbo ng Bayan Laban sa Hapon’의 머리글자에서 따온 것이다. 은 1950년대에 들어 거의 승리를 쟁취하는 듯했으나, 그뒤 필리핀 정부에게 지원된 첨단 미제 무기와 카리스마적인 필리핀 대통령 라몬 막사이사이의 행정개혁으로 인해 급격히 수세에 몰리게 되었다.

루손의 중부평원은 수많은 농민들이 광대한 영지에서 소작농으로 일하고 있던 기름진 농업지역이다.
부유한 소수와 가난에 쪼들리는 대중들 간의 확연한 대비로 필리핀 역사상 스페인 통치시기에 농민혁명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곤 했다. 1930년대에 루손 중부는 공산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의 조직적인 활동 중심지가 되었다. 이러한 갈등은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표면화되었다.

동남아시아의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필리핀인들은 일본에 강력하게 저항했다. 바탄이 일본에 점령되자(1942. 4) 조직화된 유격대들은 일본에게 점령된 지역을 되찾기 위한 투쟁을 벌였다. 이중 후크발라하프 조직이 가장 성공적인 유격투쟁을 벌였는데 이들은 수천 명의 일본군을 죽였다.

또한 이들은 일본에 협력한 부유한 필리핀인들을 암살의 주요대상으로 삼았으며, 전쟁이 끝날 무렵 루손 중부의 광대한 영지 대부분을 장악했다. 이들은 지방정부를 세우고 세금을 거두어들였으며 자신들의 법을 집행했다.

필리핀의 미군은 후크단의 지휘권이 공산주의자들의 손에 있었기 때문에 이들을 신뢰할 수 없는 상대로 간주했다. 후크단과 필리핀 정부 사이에는 곧 무기반납을 둘러싸고 긴장이 고조되었다. 후크단은 그들이 보유한 약 50만 자루의 총을 정부에 반납하는 데 소극적이었다. 이는 그들이 필리핀 정부를 과두 독재정부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미국으로부터 필리핀의 독립은 1946년 7월 4일로 예정되어 있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포인트 정책 [쓰기 500 | 읽기 0 | 코멘트 30]
Total 1,974건 52 페이지
필리핀 라이프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7
마간다통신
06-12 654
86
마간다통신
06-08 835
85
마간다통신
05-22 658
84
마간다통신
05-15 896
83
마간다통신
05-08 1514
82
마간다통신
05-01 1002
81
마간다통신
04-27 1262
80
마간다통신
04-21 1259
79
마간다통신
04-08 781
78
마간다통신
04-08 947
77
마간다통신
03-24 955
76
마간다통신
03-16 1134
75
마간다통신
03-16 1288
74
마간다통신
03-09 1079
73
말라테뽀기
03-09 1109
72
마간다통신
03-02 1171
71
마간다통신
02-23 1203
70
마간다통신
02-23 877
69
마간다통신
02-23 1190
68
마간다통신
02-16 1156
67
마간다통신
02-16 1345
66
말라테뽀기
02-09 1975
65
말라테뽀기
02-09 1403
64
마간다통신
02-02 974
63
마간다통신
02-02 1371
62
마간다통신
01-27 2019
61
마간다통신
01-27 862
60
마간다통신
01-20 706
59
마간다통신
01-13 638
58
마간다통신
01-13 1201
57
마간다통신
12-29 1498
56
마간다통신
12-23 1700
55
마간다통신
12-23 690
54
마간다통신
12-23 1109
열람중
마간다통신
12-15 1626
52
마간다통신
12-15 913
51
마간다통신
12-15 725
게시물 검색